본문 바로가기

사회

낙동강 15공구 선박침몰, "충분히 예견된 인재"

낙동강 18공구 기름유출에 이어 발생한 15공구 준설선 침몰로 인한 기름유출에 대해 예견된 사고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23일 현재 국토해양부는 사고현장에서 오일펜스를 설치하고 흡착포를 통해 방제작업에 나서고 있다. 사고현장에는 침몰선 주위로 오탁방지막이 설치되어 있고, 작업인부들이 기름 제거작업에 나서고 있다.

물길과 접해 있는 제외지에는 포크레인과 선박들이 사용한 검은 흡착포와 유압호스를 이용해 방제작업을 한 폐유를 담은 기름 드럼통을 뭍으로 이동하고 있다.

낙동강 15공구에서 침몰된 준설선에서 오염방제작업을 하고 있는 인부들.

낙동강 15공구에서 방제작업 과정에서 나온 폐유를 담은 기름통. 작업자들이 카메라 촬영을 막기 위해 천막으로 가리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사고가 발생한지 이틀만인 23일 현장에 임시천막을 세우고 비상본부를 만들었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주안점을 두고 있다”며 “방제작업은 오늘까지 끝낼 계획”이라고 했다. 또. “유출된 기름을 제거한 이후에는 유조선을 동원해 침몰선의 기름을 옮기고 24일 정도 침몰선을 인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새벽에는 잠수부가 침몰선으로 접근해 기름유출을 막는 작업을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기름이 유출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

이 관계자는 사고원인에 대해서 "노후화된 선박이 원인"이라는 시민단체의 주장과는 달리  “모래를 실은 준설선이 균형을 맞추기 위해 물을 채우는 과정에서 한 쪽을 많이 채워서 발생했다”며 “작업인부가 쉬는 과정에서 배의 균형유지를 잘못한 것”이라고 했다.

그는 “현재까지 유출된 기름은 드럼통 1개 정도의 분량”이라고 했다. 드럼통 1개는 200ℓ의 기름이 저장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시민단체는 기름유출량이 이것보다 훨씬 더 많은 것으로 보고 있다. 드럼통 1개 정도 분량은 흡착포로 제거가 가능하지만 실제 방제작업은 호스의 압력을 이용해 수면의 기름을 제거하고 있다는 것이다. 

‘낙동강사업저지 낙동강지키기 경남본부‘가 23일 현장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월동기 공사중단을 요구하고 있다.

유출된 기름을 제거한 흡착포를 선박으로 운반하고 있다.


시민단체, 예견된 사고...동절기 공사 중단과 준설선 점검 촉구 

22일 발생한 낙동강 15공구 준설선 침몰사고를 현장에서 점검하고 있는 ‘낙동강사업저지 낙동강지키기 경남본부‘는 23일 이번 침몰사고의 주범은 정부라고 지적하고 동절기 낙동강 공사 중단을 요구했다.

낙동강지키기 경남본부 이경희 공동대표는 “낙동강 사업은 치밀한 준비와 계획을 거쳐서 공사를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주먹구구식의 공사를 강행해 사고가 발생했다”며 “그 동안  여러 시민단체가 타당성 검증을 요구했지만, 국민의 소리를 무시하고 진행하다 발생한 예견된 사고”라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도 이런 크고 작은 사고는 벌어질 것”이라며 “4대강 공사에 대한 작업과정 등 모든 것을 점검해야 한다”고 했다.

이천기 경남도의원은 “이틀 동안 현장에서 지켜보았지만 사고 경위와 방제일정 대책이 나와 있지 않아 현장인부의 말에 정보를 얻고 있는 상황”이라며 “4대강사업은 경남도민과 김해시민의 입장에서 봐야 한다”고 했다. 그는 “이번 사고를 조사할 특위구성을 요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종엽 경남도의원은 “강추위 속에서 20~30년 노후화된 선박을 동원해 공사를 강행하다 식수를 오염시키는 사고가 발생한 것”이라며 “4대강 공사를 즉각 중단하는 것이 국민을 위한 공사”라고 말했다.

이날 낙동강지키기 경남본부는 “이번 사고는 지난 22일 새벽 1시30분께 준설작업을 하던 중 갑자기 기관실에 물이 차올라 발생한 것”이라며 “침몰 원인은 준설선의 노후화가 원인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현재 4대강 공사에 투입된 준설선 대부분이 연식이 오래된 것을 리모델링 한 것”이라며 “이번 사고를 계기로 모든 준설선에 대해 공사를 중단시키고 안전점검을 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와함께 “동절기인 겨울에는 대규모 토목공사를 강행해 지난 1월15일 낙동강 창원 공사구간에서는 준설선에서 일하던 노동자가 낙동강에 빠져 사망하는 일이 발생했다”며 “이 모든 사건의 주범은 공사의 속도전에 혈안이 된 정부”라고 규탄했다.

기름 방제작업 과정에서 나온 폐유를 담은 기름통을 운반하고 있다.

침몰된 준설선 인근에서 수거한 폐유를 담은 기름통을 옮기고 있다.


사고선박 접근 거부당한 경상남도, 헬리콥터 동원해 채증 나서


준설선 침몰사고 사고 이후 국토해양부는 사고를 감추기에만 급급하다는 비난도 일고 있다.

사고 당일인 22일, 국토해양부는 방송3사가 방제선을 타고 사고 선박으로 접근하는 가로막아 기자들과 실랑이를 벌였다. 또, 경상남도 환경국장과 손석형, 이종엽, 석영철, 공윤권, 이천기 경남도의원이 현장을 찾았지만, 작업에 방해가 되고 안전에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사고선박으로의 접근을 거부했다.

경상남도 청청환경국 관계자는 “어제 현장을 답사하려 했지만 국토해양부가 침몰선으로의 접근을 가로막았다”며 “사고 상황을 직접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김해시의 담당 공무원이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직접적인 행정조치는 사실상 할 수 있는 부분이 없고, 다만 오염 예방활동을 강화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인접한 취수원에서 24시간 5분단위로 오염상황을 실시간 파악하고 있다”며 “현재까지는 오염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한 관계자는 “얼음 아래에는 유속이 있는 만큼 안심할 수 없다”는 견해를 나타내기도 했다.

한편, 국토해양부로부터 침몰선으로의 접근을 거부당한 경상남도는 이날 헬리콥터를 이용해 상공에서 채증활동에 나섰다.

이 항공기에 탑승한 이종엽 도의원은 “오탁방지막 너머로 일정부분 기름이 유출되어 있어 보강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또, “침몰된 준설선 시커먼 모습을 하고 있고, 현재 기름이 유출되고 있는 지 아닌지는 상공에서 확인을 할 수 없었다”며 “선채 인양 전까지 경남도민은 불안에 떨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강병기 경남도정부부지사는 “아주 심각한 것처럼 보이지는 않았지만, 중요한 것은 식수원에 기름이 유출되었다는 사실”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