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경산코발트 광산 민간인학살, 57년 만에 진실규명


경산코발트 광산 민간인학살, 57년 만에 진실규명
진실화해위, “민간인학살 유해발굴...결정적인 물직적 증거”

  • 1950년 경산 코발트광산 민간인 학살 유해발굴


    촬영 편집/구자환
1950년 한국전쟁 당시 국군에 의해 민간인이 학살당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는 경산 코발트 광산에서 8일 오후 유해발굴을 위한 개토제와 위령제가 열렸다.

이번 유골발굴은 한국전쟁전후 민간인 집단희생과 관련하여 추진되고 있는 '2007년 유해발굴사업'에 따라 유해 발굴을 결정한 4곳 가운데 전남, 대전에 이어 세번째다.

무엇보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원회)가 주최하는 것인 만큼 국가 차원에서 실태파악과 함께 유해발굴을 통한 진상규명 작업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이는 한국전쟁이 발발한지 무려 57년만에 유족들의 간절한 소원이 일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날 경북 경산시 평거동 산42-1번지에 소재하고 있는 폐 코발트 제1수평굴 앞에서 진실화해위원회 관계자들과 유족 등 300여명이 참석해 억울한 죽임을 당한 영령들의 영혼을 달랬다.


이 자리에서 송기인 진실화해위원회 위원장은 “희생자의 대부분은 아무 죄 없는 민간인이며, 그 규모도 수천 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며 그럼에도 “사건의 피해자와 유족들은 지난 60여 년간 온갖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받아왔고 한때 빨갱이로 몰리거나 연좌제라는 올가미 속에서 사회적 차별을 받기도 했다”고 말했다.

송 위원장은 “이번 유해발굴은 억울한 죽임을 당한 분들이 무슨 일로 끌려가 왜 죽었는지, 어디에 묻혀 있는지를 밝혀내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라며 “진실을 규명하고 피해구제와 명예회복을 통해 따듯한 이웃으로 포옹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사단법인 한국전쟁전후 경산코발트광산 민간인 희생자 유족회 이태준 이사장은 추도사를 통해 “지난 57년은 우리 유족에게 감옥이었다”며 “한국전쟁 전후의 민간인 희생은 반인도적이고 반인권적이고, 반사회적이며 반역사적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태준 이사장은 “정부와 정치인들도 정치투쟁을 그만하고 구천에서 떠도는 원혼들을 위해 양심적 측면에서 완전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이 이루어져 영령으로 모실 수 있도록 동참해야 한다”고 주문하기도 했다.

위령제에 이어 진실화해위원회와 전국 유족회장단, 지역시민단체 관계자들은 개토제와 유해발굴을 위한 첫 삽을 뜨고 시신이 매장되어 있는 제1 수평갱도를 둘러보았다.

경산 코발트광산 민간인학살 사건은 1950년 6월 말에서 9월 초까지 대구, 경북지역 국민보도연맹원과 대구형무소 재소자 등 3.500여명이 폐 코발트 광산 지하갱도와 인근 대원골에서 국군에 의해 집단희생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건이다.

당시 대구형무소 재소자 2,500여명과 경산 400여명, 청도 400여명, 영천 등 200여명의 국민보도연맹원 등이 집단 희생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진실화해위원회는 이 사건에 대해 2006년 4월 25일 조사개시를 결정하고 10월 10일 실질조사를 거쳐 2007년 3월 20일자로 2007년 유해발굴 대상지로 최종 선정했다.

이번 발굴은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사)한국전쟁전후 경산코발트광산 민간인 희생자 유족회가 주관하고 있고, 2004년 마산시 진동면 여양리 민간인학살 사건 희생자 유골을 발굴을 진행했던 이상길 경남대 교수가 발굴팀을 이끌고 있다.

진실화해위원회는 이어 오는 10일 충북 청원 분터골 보도연맹사건에 대해서도 발굴을 시작할 계획이다.

ⓒ민중의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