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

지역촛불, 지역에 맞게 진화해야 한다.

 광우병을 우려한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반대하는 촛불이 2달 넘게 식지 않고 지속되면서, 시민들의 요구도 이명박 정부의 국정 전반으로 번져 나가고 있다. 더 이상 촛불의 요구가 미국산 쇠고기 문제에만 머물지 않고 있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6월 18일 창원 촛불집회


이를 반영하듯 경남의 촛불도 다양한 이슈에 대해서 성토하는 자리로 변한지가 이미 오래다. 하지만 경남의 촛불은 시민들의 의사를 따르고, 행사진행에 도움을 주겠다는 주최 쪽의 입장으로 문화제 진행과 상가밀집 지역을 행진하는데 그쳤다.


이렇게 지역촛불이 단조로울 수밖에 없는 이유는 직접민주주의의 표출에도 불구하고 서울과 달리 성토의 직접적 대상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래서 2달 넘게 촛불문화제가 진행되어 오면서 주최 쪽도 지역 촛불의 역할에 대해 고민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된 것이다.


하지만 이 고민에 대해 지역에서의 촛불문화제는 지역의 특성을 살린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각 지역이 당면하고 있는 특수한 사안에 따라서 수정되고 발전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내가 거주하고 있는 경남의 경우는 논란의 중심에 한나라당 김태호 도지사가 있다. 


김태호 경남도지사의 “낙동강운하 포기는 직무유기”라는 발언이 지역에서 논란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지난 8일 도청 기자간담회에서 "정부가 정부 입장만 고려해 대운하 백지화를 선언한 것은 직무유기에 해당 한다"며 "정부가 대운하를 포기한다고 경남도가 덩달아 포기하면 이는 경남도의 직무유기"라고 말한바 있다.

경남도민일보의 보도가 나오고, 「김태호 도지사의 직무유기」라는 제호의 경남도민일보 데스크 칼럼까지 나오면서 도지사에 대한 비난여론이 포털 다음의 아고라 광장으로 넘어가면서 한창 논쟁이 일고 있다. 「작은 이명박의 대운하 삽질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는 제호로 아고라 광장에 옮겨진 글은 순식간에 찬성베스트에 올랐다. 그리고 연이어 경남도청 홈페이지로 항의에 대한 글들이 이어지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음 아고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경남도청 게시판


김태호 경남도지사가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이유 중에  과거의 행정들도 있다. 그는 노무현 정부시절 진해와 부산일대에 추진 중이던  '신항' 명칭을 놓고 진해 명칭을 넣기 위해 5만 명이 참가하는 관제데모를 벌이기도 했지만, 실리도 명분도 챙기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 진주 준혁신도시 건설에 대해서도 정부의 지침을 일방적으로 해석해 추진하다가 유치에 따른 지역 간의 갈등만 조성하고, 결국 도민에게 사과한마디 없이 로봇랜드 건설로 넘어가 버렸다. 하지만 이마저도 이명박 정부 출범이후에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경남도민의 집중적인 비난을 받고 있는 사안은 낙동강 대운하 추진이다.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고 대운하 사업이 추진되자 “경부운하의 전도사가 되겠다.”던 그는 여전히 '대운하 TF'를 해체하지 않고 있다. 심지어 이명박 정부가 국민의 요구에 굴복하자 슬그머니 ‘워터웨이’라는 용어를 사용해 대운하를 추진하면서 '경남의 불도저'라고 비난을 받고 있기도 하다.


이렇듯 경남에는 경남지역만이 가지고 있는 민의가 있다. 그리고 타 시군도 이에 걸맞는 민의의 표출이 있다. 지역 촛불이 나아가야할 방향은 중앙 일변도의 이슈가 아니라 그와 함께 지역에 맞는 민의의 표출도 동반되어야 한다.


12일 창원에서 예정되어 있는 촛불문화제는 시민노래자랑 형태로 진행이 된다. 또, 19일에는 경남 촛불의 방향이라는 주제로 토론회가 열릴 예정이다. 2달여 동안의 단조로움을 피하고, 지역촛불이 가야할 방향을 모색하려는 깊은 고민들의 결과이지만, 지역민의를 반영하고 지역문제에 대해 개선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진화해 나아가지 않는 한, 주최 쪽의 고민은 여전히 해결되기 어려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