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지역촛불, 깊어가는 주최측의 고민


사용자 삽입 이미지

19번째 창원촛불문화제


미국산 쇠고기 수입 수정고시가 이루어진 26일 경남 창원에서도 어김없이 19번째 촛불문화제가 열렸다. 참가인원은 평균 수준인 400여명 정도. 통상적으로 볼 때 줄지 않은 참가인원이지만 문화제 주최측은 나름의 고민이 있어 보였다.


그 동안의 촛불문화제는 성난 시민들의 자유발언으로 이명박 정부를 성토하는 자리로 폭발력 있게 진행되었지만, 두어 달로 접어들면서 자유발언을 신청하는 시민들의 수가 감소하고, 분위기 또한 정체되고 있는 것이 그 이유이다.  


자유발언이 줄어 든 것으로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대한 시민들의 저항의식이 사라지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문화제를 활기차게 진행해야 할 주최측에는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모습이 각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기도 하다. 


실제로 현장에서는 자유발언 신청자가 없어, 주최측이 몇 번이나 신청을 독려하는 안스러운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에 대해 한 관계자는 이미 많은 시민들이 이명박 정부에 대해 성토할 만큼 했고, 그런 만큼 더 이상의 새로운 내용이 없기에 자유발언 신청자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내다봤다.


대부분의 정보가 공유되고 있고 해서 시민들이 특별히 공개적으로 언급하고 규탄할 만한 내용이 없다는 이야기다. 여기에다 경남의 경우 대중 앞에 나서기를 꺼려하는 지역성도 함께 하고 있다는 설명이 덧붙여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9번째 창원촛불문화제

또 하나의 고민은 매일같이 반복되는 같은 형식의 문화제에 대한 고민이기도 하다. 앞서 창원KBS와 한나라당 경남도당을 향해서 거리행진을 하기도 했지만, 여전히 시민홍보 차원에서 번화가를 행진하는 수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서울에서는 청와대라는 상징적 목표물이 있지만 지역에서는 그러한 목표가 없기 때문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주최측은 거리행진 이후에 창원KBS 앞에서 ‘창원촛불문화제 향후 진로에 대한 시민대토론회’를 열었다. 그러나 주최측의 바람과는 달리 시민대토론회에서도 촛불문화제 진로에 대한 뚜렷한 제안은 나오지 않았다. 한 장소에서 하기보다 창원 각 지역을 옮겨 다니는 소위 찾아가는 문화제를 하자는 제안과 플래시 몹, 실천운동으로 조기를 내걸자는 정도이다.


이래저래 주최측의 고민이 깊어가는 순간이기도 했지만, 규탄과 이명박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여느 때와 같이 줄어들지 않고 있었다.


한 참가자는 제안 대신에 광우병을 바라보는 인식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이 결국 한미FTA의 한 단계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강 아무개씨는 민영화는 이미 한미FTA의 내용 속에 들어있는 것이라고 말하고 촛불문화제가 본질적인 문제(한미FTA)로 접근하지 않으면 결국 촛불의 정체성의 혼란을 가져 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와함께 그는  “서울에 가 있는 경찰병력을 지방으로 다시 불러내려야 한다.”는 강경한 주장을 펼쳤다. 지난해 한미FTA 투쟁을 하면서 전국적인 집회 때 경찰병력이 모자랐던 사례를 말한 그는 “그래야만 서울에서 청와대로 갈 수 있다”며 경찰경력의 분산전술을 주장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거리행진 중인 시민들


이 밖에 참가자들은 민영화와 대운하의 약속을 믿을 수 없다며 이명박 대통령 퇴진운동을 임기 내내 할 수밖에 없다는데 동의를 나타냈다. 또, 현재 고위층 관료 대부분이 미국식 마인드에 젖어 있는 사람들이라고 지적하고, 대한민국을 미국의 52번째 주로 만들기 위해서 언어의 소통이 필요하니까 영어몰입식 교육을 하려고 했던 것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